공연장의 무대통신설비는 공연 준비 작업과 공연 시 진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장비이다. 스태프 대기실, 각 조정실, 무대 관련 공간, 시설관리실 등 공연장 전역에서의 의사소통과 전달, 확인 등을 목적으로 하는 통화, 확성, 표시, 영상 모니터, 오디오 모니터 설비로 구성된다.
오페라, 뮤지컬, 연극, 발레 등 여러 장르의 공연에서 출연자의 등장, 퇴장, 연출, 감독, 미술, 기술 등 각 분야 스태프의 협동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이 설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줄 알아야 한다.
공연장 무대 통신 구성
공연장의 규모 및 성격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찌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설비로 구성된다.
- 인터컴 (Ring Intercome)
- 인터폰 (Interphone)
- 워키토키 (Walkie-talkie)
- 큐사인 램프 (Cue-sign Lamp)
- 영상 모니터 (CCTV, Stage Monitoring TV)
- 연출용 토크백 (Talk-bakc and stage announcement)
- 음성 모니터 (Sound Monitor)
- 페이징 시스템 (Paging System)
이 외에도 공연 시작 및 휴식을 알리는 차임벨 설비와 휴식시간 표시 설비 등이 있다. 공연장 특성상 확실한 연락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확성과 인터컴, 확성과 인터폰, 큐사인 램프와 인터컴, 오디오 모니터와 영상 모니터 등 두 가지 이상의 통신설비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번 포스팅에선 인터컴과 인터폰, 큐사인 램프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1. 인터컴
무대 리허설과 공연시에 연출자 또는 무대감독이 각 기술 스태프 또는 조정실에 연락하기 위한 동시 통화식 링 인터컴 설비이다.
마이크와 스피커 또는 헤드세트로 여러 상황에 따라 구성을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호출은 램프 점멸 및 직접 음성으로 할 수 있다. 무대 진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해 높은 명료도가 확보되어야 한다.
인터컴의 기본적인 구성
모기(Main Station) : 마이크와 스피커 또는 헤드셋을 사용할 수 있으며, 원하는 자기(Substation)를 호출할 수 있도록 다채널로 구성이 되어 있다. 여러 회로 및 그룹을 설정할 수 있도록 매트릭스(Matrix) 기능이 있는 것도 있다.
자기(Substation) : 스피커와 마이크가 장착된 고정형 스피커 자기와 헤드셋을 사용하는 이동형 벨트팩 자기가 있다. 스피커 자기도 헤드셋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도 있다. 보통 한 채널이지만 여러 모기에서 오는 호출을 받을 수 있도록 두 채널 이상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자기는 모기를 호출하지만 자기는 다른 자기를 호출하지 못한다.
무선 인터컴 시스템(Wireless Intercome System) : 무선 모기(Wireless Intercome Base Station)와 무선 자기(Wireless Remote Transceiver)로 구성이 되어있다.
인터컴은 공연장의 규모 및 용도에 따라 달리 구성하여 사용한다.
보통의 중, 소 공연장은 모기를 무대감독 데스크에 설치하고, 객석에 위치한 연출석, 무대기계조정실, 조명조정실, 음향조정실, 오퍼레이팅 갤러리, 투광실, 좌우측 무대, 분장실, 휴게실, 연습실 등에 자기를 설치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기본적인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대공연장은 무대감독, 음향실, 조명실, 객석 연출석 등에는 모기를, 각 분야별 오퍼레이터들에게는 자기를 설치하고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모든 채널의 연결을 프로그램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아래와 같인 인터컴 시스템의 운용에 있어서 각 분야별 및 기능별로 분리된 회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비교적 규모 있는 공연장의 경우 각 분야별로 유, 무선 1~2회선을 사용한다.
공통 : 무대감독과 모든 스태프가 연결되는 회신
무대 : 무대 진행 스태프들 간의 연락
기계 : 오퍼레이팅 갤러리와 무대 간의 연락
조명 : 조명감독과 투광실의 스포트라이트 오퍼레이터 등과의 연락
음향 : 하우스 믹싱 콘솔 오퍼레이터와 무대 모니터 오퍼레이터 간의 연락
현장 스태프는 무대공간을 자유로이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동 범위가 제한된 유선 시스템보다 휴대형 무선 시스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무선 시스템은 공연장에서의 여러 방해 요인과 외부의 일반 상용 무선 시스템과의 상호 전파 간섭으로 간혹 통화가 끊기거나 잡음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공연 시 사용은 위험하다.
2. 인터폰
인터컴이 동시다발적인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반면 인터폰은 1:1 통화를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통화 내용에 따라서 인터컴이 적절치 않은 경우에 사용된다. 전화와 사용 목적이 비슷하다. 원하는 곳의 버튼을 눌러 간단히 호출한다.
3. 큐사인 램프
이 설비를 이용하여 무대감독 데스크에서 출연자, 스태프에게 표시등의 점등 및 소등으로 무대 진행의 큐를 줄 수 있다. 특히 공연시 일절 소리를 내서는 안 되는 장면이나 음성 전달이 어려울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확실한 큐 전달을 위해서 음성으로 먼저 큐 번호와 함께 대기 지시를 한 다음 큐 램프로 동작큐를 주도록 권하고 있으며, 좀 더 안전한 시스템으로 큐 번호 표시등을 첨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큐 번호는 임의의 장면에 필요한 일련의 동작과 작업에 주어진 번호이다.
큐사인 램프는 기본적으로 적색 1구 방식과 적색과 청색(녹) 2구 방식, 그 이상의 방식 등이 있다. 적색 1구 방식에서는 점등이 대기(Standby) 표시이며, 소등이 실행(go) 큐가 된다. 2구 방식은 적색등이 대기, 청색등이 큐가 된다.
사인 램프 및 큐 번호 지시등은 임시로 램프를 갤러리에 설치하여 무대 상부에서 확실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설치 전에 현장에서 충분히 실험을 해보고 설치 장소 주변의 밝기에 따라서 밝기를 조정한다.
'음향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향] 파워앰프 출력, 댐핑계수, 슬루율, S/N비에 대하여 (0) | 2023.05.22 |
---|---|
[음향] 무대통신설비 종류와 특징, 운영 (모니터,토크백,페이징시스템) (1) | 2023.05.21 |
[음향] 드럼 레코딩 녹음 방법 어떻게 될까? (1) | 2023.05.18 |
[음향] 국악 관악기 종류와 음향학적 특징 (1) | 2023.05.16 |
[음향] 국악 현악기 종류와 음향학적 특징 (2) | 2023.05.15 |